alt
Home 리눅스 관점에서의 네트워크, 인터넷, 서버
Post
Cancel

리눅스 관점에서의 네트워크, 인터넷, 서버

: Request와 Response가 계속 왔다갔다하는 컴퓨터간 통신


기본적인 과정

: google.com을 웹 브라우저에 치면(req), google에서 응답을(res) 주는 과정

  • 여기서 google.com : 도메인 <–> IP address
    • 리눅스 터미널에서 ping google.com 를 입력하면 google의 IP를 받음(172.217.175.46)
    • 실제로는 IP로 해당 주소를 찾아감. 그에 해당하는 alias같은 것이 domain. -> 사람이 기억하기 쉽도록 사람은 도메인으로 기억하면 됨


DNS 서버 : 이세상의 모든 도메인이 어떤 IP인지 알고 있는 거대한 전화번호부


내가 서버를 제공할 때

  • 내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하려면 나의 IP를 알아야 한다.
  • 나의 IP
    • 나의 실제 아이피 확인: ip addr을 입력하고 inet에 해당하는 addr을 확인 (192.168.156.147)
    • 나에게 접속한 결과적인 IP(외부에서 본): 혹은 https://ipinfo.io/ip에 접속 혹은 curl을 날려, ip 확인 (210.90.149.16)


두 개의 IP가 다른 이유

  • 위의 그림처럼 각각의 IP를 뚫어 계약을 맺으면 되나, 일단 가격이 비싸다.

  • 위와 같이 router를 두는 것으로 해결

  • 통신사가 제공한 211.46.24.37(공인 아이피)은 Router가 갖게 됨.(회사 대표번호)

    • 각각의 컴퓨터의 주소(IP)는 Router 네트워크끼리 사용하는 사설 아이피(Private IP)로 해결

      == 회사 내 내선번호와 같은 느낌

  • curl ipinfo.io/ip를 통해 알아내는 것 -> 외부의 공용 아이피를 볼 수 있음

  • ip addr을 통해 알아내는 것 -> 이 컴퓨터의 실질적 아이피가 무엇인지(사설 아이피)


사설 아이피를 사용하는 경우로 어떻게 서버로 사용

  • 일단 Router로 묶여있는 내부 컴퓨터(내부망)끼리는 통신 가능
  • 혹은 Router에 추가적인 별도 설정을 통해서?



Reference)

https://opentutorials.org/course/2598/14427
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